늦은 시간에 퇴근하면 빈 주차장을 찾기가 힘들죠. 이럴 때 주차 된 차 앞에 주차를 하게 되고 이를 이중주차라고 부릅니다. 예전에 나오는 차량의 경우 P에서 시동을 끄고 브레이크만 밟고 기어레버를 N으로 만 하면 다른 사람이 손으로 밀어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중주차 상태가 되었고 그 이후에는 변속레버 옆에 Shift lock release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N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었죠. 하지만 다이얼 변속 레버가 많이 쓰이는 요즘 이중주차를 하려고 하면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요즘 나오는 다이얼 방식에 차량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립주차, 이중주차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제조사에서 알려주는 중립 주차 방법
쉽게 하는 이중 주차 방법
이중주차를 하기 위해서는 오토홀드가 해제된 상태여야 하고 전자식 파킹브레이크 또한 해제된 상태여야 합니다.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오토홀드와 전자식 파킹브레이크가 모두 해제된 상태에서 P에 두고 시동을 끕니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변속 다이얼을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 칸이 아닌 반칸을 돌린 상태에서 1초간 유지합니다. 그럼 계기판에 중립이라는 표시가 뜨고 중립주차 즉 이중주차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기능은 시동을 끈 후 3분 이내에만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주차 후 너무 여유를 부리다 보면 다시 시동을 켰다가 꺼야 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오랜만에 신차를 구입하는 분들이라면 당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종종 생길 수 있습니다. 미리미리 중립주차하는 방법을 숙지해두셔서 이중주차가 상황에 잘 대응하시기 바랍니다.
'자동차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커넥트로 후석 승객 알림 해제 하는 법 (0) | 2024.04.09 |
---|---|
전기차 급발진 대처하는 방법 (1) | 2024.04.02 |
양수인 혼자서 자동차 명의이전시 필요한 서류 (0) | 2024.03.30 |
중고자동차 개인거래 후 명의이전 안 할 때 (0) | 2024.03.26 |
2024년 전기차 보조금 지역별 확인 방법 (0) | 2024.03.18 |